기사 (291건)

여러분들의 집에 단독경보형감지기와 소화기가 설치되어 있나요?단독경보형감지기와 소화기를 일컬어 주택용 소방시설이라 부르며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것을 알고 있나요?겨울철은 습도가 낮고 대기가 건조하기 때문에 화재위험이 높으며, 연중에 발생하는 전체 화재 중 겨울철이 4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주택화재는 진입이 힘든 좁은 골목과 주차된 차들, 기본적인 소방시설 미비로 초기진압의 어려움, 주거밀집지역으로 인한 추가화재발생 위험으로 화재의 위험이 더 크며, 전체 화재 사망자 300명 중 149명(49.7%)으로 주택화재에서 발생하고 있다.「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 8조‘에 의거하여 2017년 2월 4일까지 아파트와 기숙사를 제외한 모든 주택 소유자는 주택용소방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법제화 했지만, 2017년 말에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설치율은 41%정도로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설치기준으로는, 화재를 감지해 경보음을 통해 화재 사실을 알려주는 단독경보형 감지기는 ‘실’마다 설치되어야 하며, 소화기는 각 세대와 층별로 배치해야 한다.참고로 예산군에서는 전국 최초로 일반가구 약 27,000여 가구에 대하여 소화기 보급을 완료한 상태이다.주택의 천장에 설치되는 단독경보형감지기는 우리가 잠든 시간에도 화재발생 시 연기를 감지해 주변에 큰 소리롤 알리고, 주택 내 비치되어 있는 소화기를 활용해 화재를 초기에 진화함으로써 소중한 우리 가족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다. 화재 초기진압에 가장 큰 도움이 되는 주택용소방시설을 꼭 설치하여, 나와 내 가족의 안전을 지키길바란다.

예산군 | 손혜철 | 2018-11-26 10:13

예산소방서(서장 권주태)는 응급환자의 신속한 출동여건을 조성하기 위하여 비응급환자는 구급차 이용을 자제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예산소방서에 따르면 2017년 상반기 예산군 비응급·상습 구급차 이용횟수는 38회나 되었다. 비응급·상습 119구급차 이용으로 인해 위급 환자의 신속한 이송을 방해함에 따라 상습·비응급환자 구급차 이용에 대한 강력한 조치에 나선다.이와 관련 현행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119구급대는 비응급환자일 경우 구급차 이송을 거절할 수 있으며,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제30조’에 의거 응급실로 이송한 환자 중 응급실 진료 기록이 없는 신고자는 허위신고자로 간주하고 최초 1회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다.구급요청 거절대상에는 △단순 치통환자 △단순 감기환자 △혈압 등 생체징후가 안전된 타박상 환자 △단순 주취자 △만성질환자로서 검진 또는 입원 목적의 이송 요청자 △단순열상 또는 찰과성으로 지속적인 출혈이 없는 외상환자 △병원 간 이송 또는 자택으로의 이송 요청자 등이며 단, 의사가 동승한 응급환자의 병원 간 이송은 제외된다.이종현 구급팀장은 “119구급대가 본연의 목적에 맞게 운용되어 소중한 생명을 살릴 수 있도록 성숙한 시민의식으로 이해해 줄 것을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

예산군 | 권경임 | 2017-10-23 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