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곡(芸谷)스님은 홍천 안양사(安養寺)에 주석하고 있다.
한국불교의 정통종단이며 전통종단이고 장자종단인 태고종의 승려와 전법사(교임) 그리고 신도들의 신행과정에서 일어난 일들을 살펴서 아직 일어나자 않은 나쁜 것들은 일어나지 않도록 잡아주고, 이미 벌어진 나쁜 일들은 종헌 종법에 규정한 규칙에 따라 정리해 스스로도 바르지 못한 것은 바로잡고 다른 이에게 나쁜 것들이 퍼지지 않게 하는 중앙사정원(司正院)의 원장으로 계시는 종단의 큰스님이다.
동국대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군법사로 봉직하면서 역시 동국대학 교육대학원에서 교육철학을 전공한 학승(學僧)으로서 우리 태고종 종립대학이며 불교계 최초의 본격적인 교양대학인 동방불교대학(東邦佛敎大學)의 교수로 지금까지 수고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강원불교대학,원주불교대학 등 유수한 불교대학과 전국의 각 사찰 및 군법당을 가리지 않고 전법포교하면서 정확한 개념과 예증을 제시하는 법사스님으로 정평이 나있다.
총무원 교무부장과 중앙포교원장 그리고 중앙종회의장 및 고시위원장을 역임한 종단의 원로스님이다. 지난 101회 중앙종회에서 중앙종회의원들의 압도적 지지로 태고종도가 바르게(正) 가는 일(司)을 맞는 중앙사정원의 수장이 되었다.
스님을 처음 만난 것은 1987년도로 기억한다. 나는 중앙대학교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조계종 사찰에서 학생법회, 청년법회의 회원을 거쳐 어린이법회, 학생회, 청년회의 지도법사 노릇을 하면서 청년기를 보내고 있었다.
대학4학년 때 낮에는 대학도서관 장서정리 아르바이트를 하고, 밤에는 제일은행 반포지점 등에서 야간숙직을 서는 아르바이트를 하면서도 짬짬이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여름불교학교를 이끌어가던 나였다.
대학을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에 시험을 치러 합격했을 때 대학생불교연합회의 선배들인 정 상우, 김 정묵선배들이 태고종총무원 고위간부인 운산(雲山)스님을 소개했고 그 분의 눈에 들어 태고종총무원에 종무원으로 근무하게 되었다. 태고종 총무원에 근무한 지 2년 정도 되었을 때 동방불교대학에 강의하러 온 운곡스님을 처음 만났다.
다감하게 재미있는 옛 스님이야기를 들려주고 스님들의 게송(偈頌)을 암송하면서 이야기를 이끌었던 기억이 있다. 운곡스님은 정 상우, 김 정묵선배의 동국대학교 선배이고, 내가 은사로 모신 운산스님의 후배이다.
나이는 한 살이 많지만 대학을 늦게 들어가 후배가 되었어도 늘 형님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군법사를 마치고 조계종에서 태고종으로 올 때도 후배인 그들의 권유와 함께 선배인 운산스님의 적지 않은 도움으로 정착하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불교를 처음 제대로 접한 날이 성도절 (成道節) 전야여서 눈을 뜨는지 감는지도 모르고 밤새워 참선을 했던 경험이 있던 나로서는 출가해서 수행하고 포교하는 것이 꿈이었다.
입문 첫 날에 50분 참선 10분 휴식으로 강행하는 철야정진의 기억은 내게 좋은 추억으로 아로새겨져 있고 그래서 나는 성도절 철야정진만큼은 참선으로만 프로그램을 정한다.
그래서 부모도 모시고 전통종단에 수행자로 살 수 있다는 희망에 종단에서 시행하는 합동득도 수계산림에 참여해서 법현(法顯)이라는 이름의 계명(戒名)을 받아 나름 열심히 살고 있을 때였다.
알고 보니 스님들은 각 사찰에서 행자수업 후 은사스님을 정하고 계사스님을 정해서 개별적으로 수계의식을 간단히 하고 스님이 되는 것이 상례였으나 태고종에서 스님들의 자질을 일정하게 하고 높이기 위해서 합동으로 득도하는 제도를 도입한 지 얼마 안 되었다.
우리 태고종 스님들은 대개 염불정진과 영산재에 쓰이는 바라춤, 나비춤으로 알려져 있는 작법(作法)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다.
어산 (魚山) 종장(宗匠)으로 일가를 이룬 송암(松巖)스님, 벽응(碧應)스님, 지광(智光)스님, 일응(一應)스님 등과 그분들의 문하생들이 많은 우리 태고종이므로 그럴 수밖에 없었다.
현재 태고종 총무원장도 봉원사에 주석하고 있는 인공(印空)스님이다. 다른 이야기를 할 때도 그렇지만 특히 범패와 영산재를 이야기할 때는 눈에 힘이 들어가고 원고 없이도 역사와 내용을 재미있게 설하는 것을 보면 역시 봉원사 스님이구나 하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리고 특이하게도 고려 말 태고보우(太古普愚)선사께서 주석하시면서 산 이름을 금화산(金華山)이라 한 봉원사(奉元寺)에 현대불교의 어우러질 수 없는 두 특징이 한데 어우러져 있다.
봉원사는 본디 반야사(般若寺)였고, 1884년에 발생한 갑신정변의 주도자들인 김 옥균,박 영효,서 광범 등 조선(朝鮮)의 개화를 꿈꾼 개화파들의 스승인 이 동인스님이 5년간 주석한 사찰이다.
그런데 그들과 맥이 닿아 있는 조선총독부에서 조선불교에 행한 정책을 살피면 범패(梵唄)를 금지한 대목이 있다.
그런데도 같은 봉원사에 주석하시는 스님들에 의해서 일제가 금지한 범패가 지속되고 오늘날 한국의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가 되어 한국불교와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종합수행예술(綜合修行藝術)의 대표가 된 것은 정말 아이러니하면서도 중요한 민족혼이 살아있는 것이다.
또, 기독교의 바이블에 나와 있듯이 하나님이 바빌로니아사람들의 말(言語)을 흩어 버려 하늘에 닿는 성 쌓기를 방해한 것처럼 한 사회의 구성원들이 같은 말이나 노래 의식(儀式)을 함께하는 것은 사회통합의 중요한 수단이다.
그래서 일제가 한국사찰에서의 한국범패를 금지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런데 봉원사에서는 벽해(碧海)스님, 송암스님 등이 범패를 상행(常行)했고 오늘날에도 구해스님,일운스님,기봉스님,법현스님 등 그의 문하생들이 영산재보존회를 이끌고 있으며 옥천범음대학과 동방불교대학에서 범패를 가르치고 전국 사찰에서 시행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2009년도에는 아랍에미레이트공화국 아부다비에서 국제연합(UN)산하 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의 세계문화유산위원회에서 인류무형문화유산(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으로 지정하였다.
나는 대학 불교학생회와 사찰 청년회 그리고 동국대를 중심으로 한 각종 세미나 등에 참석하면서 참선수행과 교학연찬으로 법(法)에 관한 공부와 전법포교에 특히 관심이 있었다. 대학원에서 불교학을 연구하여 연기설의 입장에서 본 열역학 제2법칙인 엔트로피증가의 법칙을 연구비교하여 논문을 썼다.
교수들도 논문평가를 꺼려하였으나 통과된 뒤 석사논문으로서는 드물게 불교계 전 언론에 요약문이 실리는 아낌을 받았다. 그래서 어찌 보면 외톨이 같은 느낌이 없지 않았다.
그런 나의 외로움을 달래 주신 선배 스님들이 여러 분 계셨는데 종정을 역임하신 덕암(德菴)스님, 연수원장을 역임하신 동호(東湖)스님, 총무원장을 역임하신 운제(雲梯)스님, 태고총림 선암사 선원장을 역임하신 지허(指墟)스님, 종승위원장을 역임하신 운경(雲耕)스님과 함께 운곡스님이 그런 분이었다.
특히 봉원사 법사로 계셨고 나의 직속상관으로서 총무원 교무부장을 역임하신 운곡스님께서 많은 지도와 도움을 주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불교공뉴스는 창간 때부터 클린광고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작은 언론으로서 쉬운 선택은 아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공뉴스는 앞으로도 기사 읽는데 불편한 광고는 싣지 않겠습니다.
불교공뉴스는 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세상을 만드는 대안언론입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에 동참해주세요. 여러분의 기사후원 참여는 아름다운 나비효과를 만들 것입니다.
불교공뉴스 좋은기사 후원 계좌안내
농협 301-0234-1422-61
(손경흥 / 불교공뉴스)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